BATOO 스타리그 08~0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ATOO 스타리그 08~09는 이플레이온의 게임 바투가 후원하고, 2008년 12월 17일부터 2009년 4월 4일까지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리그이다. 36강, 16강, 8강, 4강,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제동이 정명훈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는 온미디어의 자회사 이플레이온의 게임인 바투가 후원했으며, 리그 컨셉은 '스스로 구원하라(Save The Best For Last)'이며,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이제는 바투 한판'이다.[1]
지난 시즌의 대회 방식을 이어받아 36강 방식을 고수했다. 스타리그 예선(일명 PC방 예선)을 뚫고 올라온 24명과 지난 대회 4강 진출자 4명을 제외한 지난 대회 스타리거 12명이 한 조에 3명씩 총 12개조를 이루어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결을 펼쳤다. 각 조에 PC방 예선을 통과한 두 명의 선수가 먼저 3전 2선승제로 대결을 펼치고, 여기서 승리한 선수가 지난 대회 16강 스타리거와 3전 2선승제 대결을 펼쳐 최종 승리한 선수가 16강에 진출했다. 16강은 4명 4개조 풀리그, 8강은 3전 2선승제, 4강과 결승은 5전 3선승제 등 16강 이후의 방식은 전통적인 스타리그 방식과 동일하다.
2. 대회 개요
2. 1. 후원 배경
온미디어의 자회사 이플레이온의 게임인 바투가 이번 대회를 후원했다. 이플레이온 본부장 황형준은 스타리그를 후원하게 된 배경에 대해 “두뇌전략게임 바투의 공개서비스(OBT) 시점에 맞춰, 게임 유저에게 가장 강력한 마케팅 수단이라고 판단해 스타리그 후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e스포츠 리그 중 가장 성공한 스타리그 후원을 통해 동종의 전략게임인 바투의 인지도 상승 및 바투 인구의 저변이 확대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1]
3. 대회 방식
4. 리그 일정
5. 참가 선수
BATOO 스타리그 08~09는 36강과 16강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구분 | 종족 | 참가 선수 수 | 선수 이름 |
---|---|---|---|
36강 | 테란 | 14 | 강구열, 구성훈, 김창희, 민찬기, 박동수, 박상우, 박성균, 신상문, 신희승, 염보성, 이영호, 이재호, 전상욱, 진영수 |
저그 | 11 | 고강민, 고석현, 김재춘, 박찬수, 박문기, 박성준, 박명수, 이영한, 이제동, 정영철, 조일장 | |
프로토스 | 11 | 김구현, 김민제, 김윤중, 김택용, 박대경, 박영민, 박종수, 서기수, 손찬웅, 안기효, 조재걸 | |
16강 | 테란 | 5 | 신상문, 신희승, 이영호, 정명훈, 진영수 |
저그 | 6 | 김준영, 박찬수, 박성준, 박명수, 이제동, 조일장 | |
프로토스 | 5 | 김구현, 김택용, 도재욱, 서기수, 송병구 |
5. 1. 36강 진출자
스타리그 예선은 2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별 8강 또는 9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에서 우승한 선수만이 스타리그 36강 본선에 진출할 수 있었다. 경기는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으며, 공군 ACE를 제외한 총 11개 프로게임단의 212명이 출전했다. 오전, 오후, 저녁 조로 나뉘어 각각 8개 조씩 경기가 진행되었다.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 J조 | K조 | L조 |
---|---|---|---|---|---|---|---|---|---|---|---|
박상우 | 신상문 | 조재걸 | 김재춘 | 민찬기 | 김윤중 | 강구열 | 이제동 | 박종수 | 이영한 | ||
M조 | N조 | O조 | P조 | Q조 | R조 | S조 | T조 | U조 | V조 | W조 | X조 |
김구현 | 고강민 | 김민제 | 서기수 | 조일장 | 박문기 | 고석현 | 구성훈 | 박대경 | 박동수 |
5. 1. 1. 종족별 분포
BATOO 스타리그 08~09 36강 본선 진출자들을 종족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테란 (15명) | 저그 (12명) | 프로토스 (13명) |
---|---|---|
16강 시드 진출자는 '#'으로, 36강 시드 진출자는 '*'로 표시하였다.
5. 1. 2. 16강 시드자
지난 시즌 16강 진출에는 성공했지만, 4강 진출에 실패한 선수들은 36강 시드를 받게 되었다.[1]손찬웅은 와일드 카드에 진출한 김택용이 4강 이상 진출했기 때문에 시드가 주어지지 않았다.[1]
6. 경기 결과
36강은 각 조당 2번의 매치 1 (3전 2선승제)을 치르고, 승자는 매치 2에서 지난 시즌 16강 진출자와 대결(3전 2선승제)하여 16강 진출자를 가렸다.
조 | 매치 1 | 매치 2 | ||||||
---|---|---|---|---|---|---|---|---|
A조 | 신상문 | 2 | 김민제 | 1 | 염보성 | 0 | 신상문 | 2 |
B조 | 김구현 | 2 | 박동수 | 0 | 정영철 | 0 | 김구현 | 2 |
C조 | 김창희 | 1 | 김재춘 | 2 | 손찬웅 | 2 | 김재춘 | 1 |
D조 | 신희승 | 2 | 이영한 | 1 | 박영민 | 0 | 신희승 | 2 |
E조 | 서기수 | 2 | 고석현 | 1 | 전상욱 | 1 | 서기수 | 2 |
F조 | 박문기 | 2 | 박종수 | 0 | 이영호 | 2 | 박문기 | 0 |
G조 | 진영수 | 2 | 고강민 | 0 | 박성균 | 0 | 진영수 | 2 |
H조 | 민찬기 | 1 | 조일장 | 2 | 김택용 | 0 | 조일장 | 2 |
I조 | 박명수 | 2 | 강구열 | 0 | 안기효 | 0 | 박명수 | 2 |
J조 | 구성훈 | 0 | 김윤중 | 2 | 박찬수 | 2 | 김윤중 | 0 |
K조 | 박대경 | 2 | 박상우 | 1 | 박성준 | 2 | 박대경 | 0 |
L조 | 이제동 | 2 | 조재걸 | 0 | 이재호 | 1 | 이제동 | 2 |
16강은 조별 리그로 각 선수당 3경기씩 치렀다. A조와 B조는 상위 3인이 동률을 이루어 재경기를 치렀고, A조는 재경기 결과 다시 동률이 발생하여 재경기를 한 번 더 진행했다.
A조 | B조 | C조 | D조 | ||||
---|---|---|---|---|---|---|---|
송병구 | 1승 2패 | 정명훈 | 2승 1패 | 도재욱 | 2승 1패 | 김준영 | 1승 2패 |
김택용 | 3승 0패 | 서기수 | 0승 3패 | 진영수 | 2승 1패 | 김구현 | 1승 2패 |
박명수 | 1승 2패 | 신상문 | 2승 1패 | 신희승 | 1승 2패 | 박찬수 | 2승 1패 |
박성준 | 1승 2패 | 조일장 | 2승 1패 | 이영호 | 1승 2패 | 이제동 | 2승 1패 |
손찬웅 선수의 부상으로 와일드카드전이 추가 진행되었다.
'''와일드카드전 12강'''
'''와일드카드전 6강'''
'''와일드카드전 3강'''
8강부터 결승까지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8강 1경기 | 8강 2경기 | 8강 3경기 | 8강 4경기 |
---|---|---|---|
김택용 2 : 0 도재욱 | 박찬수 1 : 2 정명훈 | 진영수 1 : 2 조일장 | 이제동 2 : 1 송병구 |
4강 1경기 | 4강 2경기 | ||
김택용 0 : 3 정명훈 | 조일장 0 : 3 이제동 | ||
결승전 | |||
정명훈 2 : 3 이제동 |
6. 1. 36강
36강의 조 편성은 팀 배분을 우선하여 종족별 배분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추첨되었다. 예선을 진출한 선수들은 매치 1에서 3전 2선승제로 대결하고, 승리한 선수는 지난 시즌 16강 진출자와 매치 2에서 3전 2선승제 경기를 치러 이기는 선수가 16강에 진출한다. 탈락자는 예선으로 떨어진다.조 | 매치 1 | 매치 2 | ||||||
---|---|---|---|---|---|---|---|---|
A조 | 신상문 | 2 | 김민제 | 1 | 염보성 | 0 | 신상문 | 2 |
B조 | 김구현 | 2 | 박동수 | 0 | 정영철 | 0 | 김구현 | 2 |
C조 | 김창희 | 1 | 김재춘 | 2 | 손찬웅 | 2 | 김재춘 | 1 |
D조 | 신희승 | 2 | 이영한 | 1 | 박영민 | 0 | 신희승 | 2 |
E조 | 서기수 | 2 | 고석현 | 1 | 전상욱 | 1 | 서기수 | 2 |
F조 | 박문기 | 2 | 박종수 | 0 | 이영호 | 2 | 박문기 | 0 |
G조 | 진영수 | 2 | 고강민 | 0 | 박성균 | 0 | 진영수 | 2 |
H조 | 민찬기 | 1 | 조일장 | 2 | 김택용 | 0 | 조일장 | 2 |
I조 | 박명수 | 2 | 강구열 | 0 | 안기효 | 0 | 박명수 | 2 |
J조 | 구성훈 | 0 | 김윤중 | 2 | 박찬수 | 2 | 김윤중 | 0 |
K조 | 박대경 | 2 | 박상우 | 1 | 박성준 | 2 | 박대경 | 0 |
L조 | 이제동 | 2 | 조재걸 | 0 | 이재호 | 1 | 이제동 | 2 |
6. 2. 16강
16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A조 | B조 | C조 | D조 | ||||
---|---|---|---|---|---|---|---|
송병구 | 1승 2패 | 정명훈 | 2승 1패 | 도재욱 | 2승 1패 | 김준영 | 1승 2패 |
김택용 | 3승 0패 | 서기수 | 0승 3패 | 진영수 | 2승 1패 | 김구현 | 1승 2패 |
박명수 | 1승 2패 | 신상문 | 2승 1패 | 신희승 | 1승 2패 | 박찬수 | 2승 1패 |
박성준 | 1승 2패 | 조일장 | 2승 1패 | 이영호 | 1승 2패 | 이제동 | 2승 1패 |
상위/하위 3인의 승패가 동률인 경우에는 삼자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리게 된다.
재경기를 거친 선수들의 승패가 1승 1패일 경우 다시 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리게 된다.
6. 3. 와일드카드전
손찬웅 선수의 허리 부상으로 와일드카드전이 펼쳐졌다.'''12강''' (방송되지 않았다.)
'''6강'''
'''3강'''
6. 4. 8강 ~ 결승
8강 1경기 | 8강 2경기 | 8강 3경기 | 8강 4경기 |
---|---|---|---|
김택용 2 : 0 도재욱 | 박찬수 1 : 2 정명훈 | 진영수 1 : 2 조일장 | 이제동 2 : 1 송병구 |
4강 1경기 | 4강 2경기 | ||
김택용 0 : 3 정명훈 | 조일장 0 : 3 이제동 | ||
결승전 | |||
정명훈 2 : 3 이제동 |
7. 대회 결과
(두 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