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BATOO 스타리그 08~09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ATOO 스타리그 08~09는 이플레이온의 게임 바투가 후원하고, 2008년 12월 17일부터 2009년 4월 4일까지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리그이다. 36강, 16강, 8강, 4강,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제동이 정명훈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 대회 개요

이번 대회는 온미디어의 자회사 이플레이온의 게임바투가 후원했으며, 리그 컨셉은 '스스로 구원하라(Save The Best For Last)'이며,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이제는 바투 한판'이다.[1]

2. 1. 후원 배경

온미디어의 자회사 이플레이온의 게임바투가 이번 대회를 후원했다. 이플레이온 본부장 황형준은 스타리그를 후원하게 된 배경에 대해 “두뇌전략게임 바투의 공개서비스(OBT) 시점에 맞춰, 게임 유저에게 가장 강력한 마케팅 수단이라고 판단해 스타리그 후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e스포츠 리그 중 가장 성공한 스타리그 후원을 통해 동종의 전략게임인 바투의 인지도 상승 및 바투 인구의 저변이 확대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1]

3. 대회 방식

지난 시즌의 대회 방식을 이어받아 36강 방식을 고수했다. 스타리그 예선(일명 PC방 예선)을 뚫고 올라온 24명과 지난 대회 4강 진출자 4명을 제외한 지난 대회 스타리거 12명이 한 조에 3명씩 총 12개조를 이루어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결을 펼쳤다. 각 조에 PC방 예선을 통과한 두 명의 선수가 먼저 3전 2선승제로 대결을 펼치고, 여기서 승리한 선수가 지난 대회 16강 스타리거와 3전 2선승제 대결을 펼쳐 최종 승리한 선수가 16강에 진출했다. 16강은 4명 4개조 풀리그, 8강은 3전 2선승제, 4강과 결승은 5전 3선승제 등 16강 이후의 방식은 전통적인 스타리그 방식과 동일하다.

4. 리그 일정

5. 참가 선수

BATOO 스타리그 08~09는 36강과 16강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구분종족참가 선수 수선수 이름
36강테란14강구열, 구성훈, 김창희, 민찬기, 박동수, 박상우, 박성균, 신상문, 신희승, 염보성, 이영호, 이재호, 전상욱, 진영수
저그11고강민, 고석현, 김재춘, 박찬수, 박문기, 박성준, 박명수, 이영한, 이제동, 정영철, 조일장
프로토스11김구현, 김민제, 김윤중, 김택용, 박대경, 박영민, 박종수, 서기수, 손찬웅, 안기효, 조재걸
16강테란5신상문, 신희승, 이영호, 정명훈, 진영수
저그6김준영, 박찬수, 박성준, 박명수, 이제동, 조일장
프로토스5김구현, 김택용, 도재욱, 서기수, 송병구


5. 1. 36강 진출자

스타리그 예선은 2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별 8강 또는 9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에서 우승한 선수만이 스타리그 36강 본선에 진출할 수 있었다. 경기는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으며, 공군 ACE를 제외한 총 11개 프로게임단의 212명이 출전했다. 오전, 오후, 저녁 조로 나뉘어 각각 8개 조씩 경기가 진행되었다.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J조K조L조
박상우신상문조재걸김재춘민찬기신희승김윤중진영수강구열이제동박종수이영한
M조N조O조P조Q조R조S조T조U조V조W조X조
김구현고강민김민제서기수조일장김창희박문기고석현구성훈박대경박명수박동수


5. 1. 1. 종족별 분포

BATOO 스타리그 08~09 36강 본선 진출자들을 종족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테란 (15명)저그 (12명)프로토스 (13명)



16강 시드 진출자는 '#'으로, 36강 시드 진출자는 '*'로 표시하였다.

5. 1. 2. 16강 시드자

지난 시즌 16강 진출에는 성공했지만, 4강 진출에 실패한 선수들은 36강 시드를 받게 되었다.[1]

손찬웅은 와일드 카드에 진출한 김택용이 4강 이상 진출했기 때문에 시드가 주어지지 않았다.[1]

6. 경기 결과

36강은 각 조당 2번의 매치 1 (3전 2선승제)을 치르고, 승자는 매치 2에서 지난 시즌 16강 진출자와 대결(3전 2선승제)하여 16강 진출자를 가렸다.



16강은 조별 리그로 각 선수당 3경기씩 치렀다. A조와 B조는 상위 3인이 동률을 이루어 재경기를 치렀고, A조는 재경기 결과 다시 동률이 발생하여 재경기를 한 번 더 진행했다.

A조B조C조D조
송병구1승 2패정명훈2승 1패도재욱2승 1패김준영1승 2패
김택용3승 0패서기수0승 3패진영수2승 1패김구현1승 2패
박명수1승 2패신상문2승 1패신희승1승 2패박찬수2승 1패
박성준1승 2패조일장2승 1패이영호1승 2패이제동2승 1패



A조 (1차 재경기)B조 (재경기)
송병구1승 1패정명훈2승 0패
박명수1승 1패신상문0승 2패
박성준1승 1패조일장1승 1패



A조 (2차 재경기)
송병구2승
박명수1패
박성준1패



손찬웅 선수의 부상으로 와일드카드전이 추가 진행되었다.

'''와일드카드전 12강'''

A조
박성균2전상욱1
B조
김재춘1김윤중2
C조
이재호2박대경0
D조
정영철1안기효2
E조
김택용2염보성0
F조
박문기1박영민2



'''와일드카드전 6강'''

A조
박성균2김윤중1
B조
이재호2안기효0
C조
김택용2박영민0



'''와일드카드전 3강'''

3강전
박성균1승 1패
이재호0승 2패
김택용2승 0패



8강부터 결승까지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8강 1경기8강 2경기8강 3경기8강 4경기
김택용 2 : 0 도재욱박찬수 1 : 2 정명훈진영수 1 : 2 조일장이제동 2 : 1 송병구
4강 1경기4강 2경기
김택용 0 : 3 정명훈조일장 0 : 3 이제동
결승전
정명훈 2 : 3 이제동


6. 1. 36강

36강의 조 편성은 팀 배분을 우선하여 종족별 배분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추첨되었다. 예선을 진출한 선수들은 매치 1에서 3전 2선승제로 대결하고, 승리한 선수는 지난 시즌 16강 진출자와 매치 2에서 3전 2선승제 경기를 치러 이기는 선수가 16강에 진출한다. 탈락자는 예선으로 떨어진다.


6. 2. 16강

16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

A조B조C조D조
송병구1승 2패정명훈2승 1패도재욱2승 1패김준영1승 2패
김택용3승 0패서기수0승 3패진영수2승 1패김구현1승 2패
박명수1승 2패신상문2승 1패신희승1승 2패박찬수2승 1패
박성준1승 2패조일장2승 1패이영호1승 2패이제동2승 1패



상위/하위 3인의 승패가 동률인 경우에는 삼자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리게 된다.

A조B조
송병구1승 1패정명훈2승 0패
박명수1승 1패신상문0승 2패
박성준1승 1패조일장1승 1패



재경기를 거친 선수들의 승패가 1승 1패일 경우 다시 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리게 된다.


6. 3. 와일드카드전

손찬웅 선수의 허리 부상으로 와일드카드전이 펼쳐졌다.

'''12강''' (방송되지 않았다.)

A조
박성균2전상욱1
B조
김재춘1김윤중2
C조
이재호2박대경0
D조
정영철1안기효2
E조
김택용2염보성0
F조
박문기1박영민2



'''6강'''

A조
박성균2김윤중1
B조
이재호2안기효0
C조
김택용2박영민0



'''3강'''

3강전
박성균1승 1패
이재호0승 2패
김택용2승 0패


6. 4. 8강 ~ 결승

8강 1경기8강 2경기8강 3경기8강 4경기
김택용 2 : 0 도재욱박찬수 1 : 2 정명훈진영수 1 : 2 조일장이제동 2 : 1 송병구
4강 1경기4강 2경기
김택용 0 : 3 정명훈조일장 0 : 3 이제동
결승전
정명훈 2 : 3 이제동


7. 대회 결과

(두 번째 우승)


8. 사용 맵

BATOO 스타리그 08~09에서는 지난 시즌에 사용되었던 ‘메두사’, ‘신 추풍령’과 프로리그 맵 ‘러시아워3’이 사용되었다. 맵 순서는 당일 추첨으로 결정되었다. 1경기에는 ‘달의 눈물 BATOO’, 2경기에는 ‘왕의 귀환’, 3경기에는 ‘메두사’가 사용되었다. 36강에서는 ‘메두사’, ‘왕의 귀환’, ‘달의 눈물 BATOO’ 외에 ‘신 추풍령’이 추가되었다.

종족달의 눈물 BATOO왕의 귀환Medusa신 추풍령
인원3432
P vs Z3:129:17:81:3
Z vs T6:54:46:61:1
T vs P8:45:34:91:0
Z vs Z3번3번0번2번
T vs T5번1번4번3번
P vs P2번1번1번1번


8. 1. 맵 정보

지난 시즌에 사용되었던 ‘메두사’와 ‘신 추풍령’ 그리고 프로리그 맵인 ‘러시아워3’를 사용했다. 맵의 순서는 당일 추첨을 통해 진행되었다.

1경기 ‘달의 눈물 BATOO’, 2경기 ‘왕의 귀환’, 3경기 ‘Medusa’ 순서로 진행되었다.

36강에 사용되었던 ‘메두사’와 ‘왕의 귀환’ 그리고 ‘달의 눈물 BATOO’과 함께 ‘신 추풍령’이 추가되었다.

종족달의 눈물 BATOO왕의 귀환Medusa신 추풍령
인원3432
P vs Z3:129:17:81:3
Z vs T6:54:46:61:1
T vs P8:45:34:91:0
Z vs Z3번3번0번2번
T vs T5번1번4번3번
P vs P2번1번1번1번


9. 특이사항

참조

[1] 뉴스 차기 스타리그 스폰서는 '바투', 바투 스타리그 12일 예선 http://www.fomos.kr/[...] 포모스 2008-12-07
[2] 문서 손찬웅의 허리 부상으로 인한 기권에 의해 생겨난 와일드 카드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